자바스크립트에서 return이라는 키워드를 사용하는데 이 return은 함수 내부에서 정해진 명령들을 실행하고 난 뒤에, 다시 돌려준다, 반환한다는 의미로 볼 수있다.return 키워드는 함수 내부에서 사용하고 return 값 옆에 되돌려줄 값을 입력해서 사용한다.이때 이 값을 '반환 값' 또는 '리턴 값' 이라고 부른다. function getTwo() { return 2; } console.log(getTwo()); 이렇게 리턴 값이 작성 되면 함수를 호출하는 자리에 그 리턴 값이 전달이 되는데위 코드에서 getTwo 함수를 호출 했으니 이 함수에 리턴 값인 2가 전달이 돼서' console.log(2) '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 코드가 되기..
console.log 함수를 사용하면서 소괄호 안에 값들을 입력했었다.함수를 호출할때 소괄호 안에 입력하는 값을 파라미터 즉 매개변수 라고한다. 매개변수는 함수 내에서 변수처럼 사용할 수있으며 함수를 선언하고 호출할 때 소괄호 내부를 잘 활용하면 좀 더 다양하게 함수를 활용 할 수있다. Prameter function 함수이름 (매개변수) {명령들;} 함수 선언 부분에서 함수이름 바로 뒤 소괄호 내부에 파라미터를 작성하고함수 내부에서 파라미터를 변수처럼 사용하게 되면 함수를 호출 할때소괄호 값이 파라미터에 전달되는 개념이다. 지난 글에 작성했던 friend 함수를 가지고 파라미터를 활용해보자 function friend(sentence) { console.log('행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