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JavaScript - 추상화 / return문의 함수 실행 중단
·
JS
자료형에서 배웠던 함수에서 return 문은 어떤 값을 되돌려주는 output의 역할을 한다. function square(x) { return x * x } console.log(square(3)); 위 코드를 보면 square 함수를 호출하면서 숫자 값 3을 파라미터로 전달하고 있다.그러면 파라미터 x에 3이 전달되고 리턴 3 * 3이 되면서 함수 호출 부분은 9를 되돌려 받는다.결국 최종 출력 결과는 9이다.  이렇게 보면 생각보다 간단한데, 사실 리턴문에는 이렇게 결과값을 돌려주는 역할 뿐만아니라하나의 역할이 더있다. return문의 함수 실행 중단말 그대로 함수 내부에서 리턴 키워드가 나오면 함수의 실행은 그 지점에서 중단이 된다. // 함수 실행 중단 하는 r..
(11) JavaScript - 추상화 / 함수의 실행 순서
·
JS
function sayHello() { console.log('hi'); console.log('welcome to my club'); } console.log('함수 호출 전'); sayHello() console.log('함수 호출 후'); 해당 코드를 실행하면 순서는 기본적으로 위에서부터 아래로 한 줄씩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으면서 각 줄이 해야하는 일이 끝나면 그 다음줄을 읽는 방식으로 동작한다.하지만 코드를 실행하는 중에 함수가 호출되면 코드가 다르게 동작한다. 한번 살펴보자면.. function sayHello() { console.log('hi'); console.log('welcome to my club'); ..
(10) JavaScript - 추상화 / 할당 연산자 (Assignment Operators)
·
JS
할당 → 지정했다, 정했다, 대입했다 할당 연산자 (Assignment Operators) let name = '섭이' let x = 5 x = x - 2  ▲ 변수 name에는 문자열 '섭이' 값을 가지고 있고 변수 x는 숫자 5 값을 가지고 있다.그렇다면 x = x - 2는 어떤 의미일까? 수학적으로보면 전혀 성립 되지 않는 식이라는 것을 볼 수있는데등호는 양쪽이 서로 같다는 의미니까 x와 x-2는 같을 수 없다. 자바스크립트에서 등호는 '왼쪼과 오른쪽이 같다' 라는 의미가 아니며 이 등호를 할당 연산자라고 부른다. 코드에서  x = x - 2 는 '오른쪽에 있는 피연산자를 왼쪽에 있는 피연산자에 할당한다' 라는 의미이다.(여기서 피연산자는 연산이 되어지는 대상을 가리키는말이다.) 할..
(9) JavaScript - 자료형 / null & undefined
·
JS
자료형 데이터 타입에서 String(문자열), Number(숫자), Boolean(불린) 외에도null 과 undefined라는 자료형도 있다.자바스크립트에서는 둘 다 '값이 없다' 라는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쓰임에 차이가 있다. null & undefined간단하게 두 차이를 설명하자면null은 '값이 없다'는 것을 의도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하고undefined는 우리가 직접 값을 표현하기보다 코드를 실행하면서 '값이 없다' 라는 것을 확인 할 수있는 것이다.그 예시를 한번 살펴보자  let SeopE console.log(SeopE); ▲먼저 SeopE라는 변수를 만들어주고 아무런 값도 넣어 주지 않은 채 콘솔에 SeopE을 출력해봤다. undefined 라는 값을 확인 할 수있는데자..
(8) JavaScript - 자료형 / 템플릿 문자열 (Template String)
·
JS
let year = 2023 let month = 9 let day = 20 console.log('오늘은 ' + year + '년 ' + month + '월 ' + day + '일'); ▲ 변수를 활용해서 문장을 만들고 있는데, 변수들이 숫자 값을 가지고 있지만더하기는 한쪽만 문자열이어도 두 값을 모두 문자열로 변환 한 다음에 문자열 연결이 된다.실행 해보면 한 문장으로 문자열이 잘 연결된 것을 볼 수 있다. 위 작성한 코드를 가지고 템플릿 문자열로 변환해보자 템플릿 문자열템플릿이란 일정한 틀, 형식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특별한 형식을 가진 문자열을 템플릿 문자열 이라고 한다. ▼ 템플릿 문자열은 ( ` ` ) 백틱을 사용하며 좀 더 가독성있게, 코드작성을 편리하게 변화 시킬 수있..
2024.09.19-20 (Day 10,11) - JavaScript Implicit Object 2
·
BootCamp Review
2. 브라우저 내장 객체  브라우저 내장 객체• 브라우저 내장 객체는 브라우저에서 제공하는 자바스크립트 내장 객체임으로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프런트 웹 애플리케이션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window : 브라우저 창을 지칭하는 객체document : 브라우저에 출력되는 HTML 문서를 지칭하는 객체history : 브라우저의 인터넷 방문 기록을 지칭하는 객체screen : 브라우저가 떠 있는 스크린 창을 지칭하는 객체navigator : 브라우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객체location : 브라우저의 출력 URL 을 지칭하는 객체• 브라우저의 객체들은 모두 window 의 객체들로 window 부터 계층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 document, history, screen, navigator, locat..
(8) JavaScript - 자료형 / 형 변환 (Type Conversion)
·
JS
형 변환 (Type Conversion)형 변환은 말 그대로 처음에 값으로 정해진 자료형을 다른 자료형으로 바꾸는 것을 말한다.console.log 처럼 자바 스크립트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함수를 활용하면 된다. 문자열로 바꿀 때 - String숫자로 바꿀 때 - Number불린으로 바꿀 때 - Boolean  문자열과 숫자들을 형 변환 하면 결과는 아래와 같다 ▼ String, Number, Boolean ▷숫자 -> 문자 형 변환 //숫자 -> 문자 let x = 123; console.log(x); // 123 console.log(String(x)); // 문자열 123 console.log(typeof x); // Number console.log(typeof St..
2024.09.13-19 (Day 9,10) - JavaScript Implicit Object 1
·
BootCamp Review
I. Javascript 내장 객체객체객체 - 함수와 데이터의 집합 • 자바스크립트에서 객체를 만드는 방법  3가지1. 객체 리터럴2. 함수 생성자3. 클래스 • OOP 는 Object Oriented Programming 의 약어이며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라고 한다.객체를 선언하고 객체를 이용해 코드를 작성하는 기법을 이야기 하는 용어이며 자바스크립트 뿐만 아니라대부분의 소프트웨어 언어에서 화자되는 용어이다.어떤 소프트웨어 언어에서 OOP 를 지원한다는 이야기는 그 언어에서 객체를 선언하고 이용하는 방법을 지원한다는 이야기이며, OOP 문법이라는 것은 객체를 선언하고 이용하기 위한 언어의 문법을 의미한다. ▼ 내장 객체• 개발자가 직접 객체를 선언해서 필요한 객체를 만들 수도 있고 이미 존재하는 객체..
(7)JavaScript - 자료형 / typeof 연산자
·
JS
typeof 연산자는 내가 지금 사용하는 값이 어떤 자료형인지 확인하는 연산자이다.typeof 값 typeof라는 키워드 다음 값에 입력하면 이 typeof을 평가해서 해당하는 자료형을 문자열로 되돌려준다. ▼ typeof로 자료형 확인하기 (1) 실행 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값이 출력된다 typeof로 인해 우리가 사용하는 값이 어떤 자료형인지 간편하게 확인할 수있다. 또한, 숫자라고 해서 무조건 number가 아닌 따옴표로인해 문자열 string으로 출력된다는점 잊지말자 ▼ typeof로 자료형 확인하기 (2)typeof 연산자는 이렇게 단순한 값 뿐만 아니라 변수나 함수에도 활용 할 수있다.각각의 자료형을 확인해보면name은 SeopE라는 문자열을 담고있어 string으로 출력되었고sayHello는 ..
(6)JavaScript - 자료형 / 불린 (Boolean)
·
JS
불 대수 (Boolean Algebra)불 대수 (Boolean Algebra)는 일상적인 논리를 수학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 일반적으로 수학을 할 때 쓰는 값은 숫자 (1,3,5,-1,3.14)는 불 대수에서 진리값(truth value)이라고 부른다.진리값은 어떤 명제가 참(true)인지 false(거짓)인지를 나타내는 것이며여기서 명제란 참(true), 거짓(false)이 확실한 문장이다.그리고 평소 수학을 할 때 쓰는 연산(+ , - * /)들은 불 대수에서 AND, OR, NOT 세 가지 연산이 있다. ▶ 불 대수를 하려면 명제가 무엇인지 파악해야 한다.' 1+1은 2이다 ' 는 참인 명제이고 ' 2는 1보다 작다 ' 는 거짓인 명제이다.더 나아가 ' 1+1은 무엇인가? ' 는 질문이기에 명제..